현재 서울시나 수도권에서 논의 중인 것이 바로 대중교통비 인상이다. 급격한 인플레이션과 몇 년간 억제되어있던 가격 인상시기가 겹쳐 큰 폭의 대중교통비 인상이 예고되는 중임
따지고보면 오래동안 안 오른 것이 맞지만, 현재는 교통비'도' 인상하는 것이라 부담되는 것이 맞다. 피할 수 없는 운명이라면 어떻게 해야 이 비용을 줄일 수 있을지 고민해야겠지. 다행히 교통비를 30%까지 줄일 수 있는 정부지원혜택이 있어 소개해보려고 한다.
● 알뜰교통카드 소개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라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주는 복지제도다. 정류장이나 지하철 역까지 걷는만큼 알뜰교통카드 앱에 기록되고, 이것이 마일리지로 적립되는 방식인데 이로 누리는 할인폭이 최대 20%다.. 또한 카드사 할인으로 추가 10% 할인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 30%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구조다.
● 마일리지 적립 기준
집에서 직장으로 출발 전 앱 내 출발버튼을 클릭하면 도보 혹은 자전거 이동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지급받는다.우리는 어차피 집에서 정거장까지 많이 도보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용하면 무조건 혜택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복지 제도다
1.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승차지점까지 도보, 자전거 이동거리 측정
2. 대중교통 하차지점에서 도착지까지 걷거나 자전거 이동거리 측정
3. 카드사로부터 대중교통 이용 정보 수신
4.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알뜰교통 앱 출발/도착 정보 일치여부 확인
5. 정보 확인 후 마일리지 적립
● 사용하는 법
1. 우리, 신한, 하나카드, 티머니페이에서 알뜰교통카드 신청하거나 모바일캐시비, 원패스 선불형 교통카드를 신청해준다.
2. 알뜰교통카드 앱 다운로드 받는다.
3. 카드 수령 후 알뜰교통카드 앱 회원가입한다.
4. 출발지에서 출발 버튼을 누르고, 도착지에서 도착 버튼을 누르면 마일리지 적립
● 마일리지 적립액
보행 이동거리 최대 800m까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가 지급된다. 마일리지 지급액은 교통비 2천원 미만일 경우 최대 250원, 2~3000원일 경우 최대 350원, 3천원 이상일 경우 최대 450원이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만 지급되고,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마일리지가 2배 지급된다.
● 청년 및 저소득층 추가 적립
청년층의 경우 마일리지 지급액이 350원, 500원, 650원으로 늘어나며 저소득층 또한 500원, 700원, 900원으로 늘어난다.
● 카드사 추가 혜택
카드사 혜택으로 신한카드나 우리카드 신용, 체크카드는 이용 실적만 채운다면 대중교통 10%를 할인해주고, 하나카드는 신용카드에서 대중교통 최대 20% 할인, 체크카드에서 대중교통 최대 15%할인까지 받을 수 있다.
● 티머니로도 이용 가능
티머니 제로페이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유저는 이용금액의 10%를 캐시백받는다. 제로페이 가맹점 이용금액이 10만원만 넘어도 대중교통 사용 적립률이 10%나 되므로 현 티머니 유저들은 그대로 등록 후 사용하면 된다.
● 실제 이용 후기
M버스로 수도권과 서울을 왔다갔다하시는 분은 한달 15000원정도 페이백받고 있고, 한 달에 42회 대중교통 이용하는 서울시민의 경우 17600원정도 돌려받는다고 한다.
또한 대중교통을 그렇게 자주 이용하지 않는 학생도 한 달 만원 내외의 할인을 받는다고 하니, 짠테크가 유행하고 있는 지금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서비스는 이용해볼만한 듯
'알아둬야할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니어그램 테스트 사이트 및 1~9 유형 특징(강점, 약점) (0) | 2023.02.19 |
---|---|
AI가 전망하는 유튜버의 미래 (0) | 2023.02.05 |
진짜 빡세진 넷플릭스 동거 가족 기준 (0) | 2023.02.02 |
트위터 민감한 콘텐츠 설정 해제하는 법 (0) | 2023.01.31 |
트위치 다시보기 중단 날짜 VOD 기능 아예 중단 발표 (0) | 2023.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