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2020년 12월 25일부터 시행된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생수나 탄산음료 용기 등을 보면 무색의 투명 페트병이 사용된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런 페트병은 그냥 페트병과 다르게 분리해야한다. 전국 공동주택부터 시작하여 21년 12월 25일부터는 연립과 빌라, 공동주택, 단독주택도 시행되었다. 최근 생수 기업들도 비닐의 사용을 줄이고, 재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위과 같이 비닐 껍질 없는 생수를 출시 중이다.

분명 많은 사람들이 모를텐데, 이는 홍보가 잘 안 되었기 때문이다. 환경부에서 9월부터 투명페트병 분리배출과 관련하여 두 달동안 투명페트병 따로모아 챌린지를 진행한다.
 
무색, 투명한 생수 및 음료 페트병을 유색, 일반 플라스틱 페트병과 구분하여 별도 분리 배출하는 챌린지다.

 

 

● 투명페트병을 분리배출 해야하는 이유

같은 플라스틱이라도 PE, PP, PET등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이 섞일 경우 노끈, 솜 등 가치가 낮은 제품으로만 재활용이 가능하다. 반면 투명페트병을 별도로 배출할 경우 의류, 가방, 신발을 비롯해 다시 페트병으로 재생산도 가능해짐.
 
결국 우리가 재활용을 잘 하냐 못 하냐에 따라 짧게 뽑혀 솜으로 밖에 쓸 수 없는 재질이 될 수도 있고, 길게 뽑혀 옷감으로 재활용 가능한 재질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런 분리 배출 문화가 정착된다면 10만 톤 이상의 페트병을 재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을 통해, 재활용 과정에서 가치가 낮아지는 다운사이클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러한 정책이 시행되었다.

●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방법

무색 생수통, 음료 페트병 등의 내용물을 비운 뒤 라벨을 제거한 후 발로 밟고 뚜껑을 닫는다. 그리고 재활용해주면 된다.
 
뚜껑은 물에 뜨는 재질(PE, PP)이며 몸체인 PET는 물에 가라앉기 때문에, 같이 분리배출해도 상관 없다.

 

 

일회용컵이나 과일 트레이, 계란판 등은 투명페트병과 따로 분리해서 일반 플라스틱류로 배출해야한다. PS, PET-G 등이 혼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아쉬운 점

솔직히 과일 트레이나 일회용 컵은 같이 투명하기 때문에 투명페트병으로 오해하기 쉽다. 재활용이란 것이 알면 알수록 복잡하기 때문에 편의성을 늘리는 제도도 같이 진행되어야하지 않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