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연구실에서, 인터넷에서, 집에서 맨날 나오는 말이 있었다.
왜 석사학위만 하냐고, 석사한다고 회사에서 뭐 달리 대우해주는 것 없다고...
아주 맞는 말입니다. 석사랑 학사 학위가 취업하고 나서 겪는 다른 상황은 2가지 뿐입니다
1. 2년 연차 인정해주는 것
2. 1번 덕에 연봉이 더 높은 것
회사에서는 서로 대학교나 그런 걸 잘 묻지 않기 때문에 석사 나온지, 이직한건지 어느 정도 대화나눠보지 않으면 잘 모름.

신입 중에 진짜 타 회사에서 이직한 사람, 대체복무 3년하다 온 사람, 늦게 취업한 사람 등등 많기에 하나하나 기억하기가 힘들어. 그냥 모두들 눈에 신입은 신입일 뿐?
그렇기에 업무에 있어 석사라고 더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
다만 같은 학교에서 같은 회사 간 애들의 경우, 내가 석사하다 간 걸 잘 알기에 엄청난 대우를 해준다. 월에 약 10만원정도 더 받으니까 술 사달라는 등~~꺄르르
뭔가 승진에서의 어마어마한 혜택이라던가 급여의 혜택은 기대하지 않아도 좋다
진짜진짜 학부랑 다를 거 하나도 없냐구??
대충 내 회사 생활 느낌을 말해보자면...
1. 발표에 대한 거부감이 덜한거
2. 뭔가 시켜도 군말없이 잘하는 거
3. 뭐든 적극적으로 임한다는 거
4. 아주 가~끔 야근해도 스트레스 없는 거
5. 그래프 그리기나 해석, 반도체 공정 이해 같이 일을 쪼~끔 더 빨리 배운다는 거
이 정도인데 이건 굳이 석사 학위 아니어도 열심히 하면 다 할 듯하다
결론 : 진짜 차이 없음
석사 회사원의 압박
예전에 아래와 같은 글을 적은 적이 있다. 석사 나오면 회사에서 대우가 다른지에 대한 내용이다. 석사 나오면 회사에서 대우가 다른가요? 석사 나오면 회사에서 대우가 다른가요? 예전에 연구
jista.tistory.com
'공대 대학원 생활 & 반도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원생들이 블로그하거나 글을 썼으면 하는 이유 (0) | 2023.02.12 |
---|---|
반도체 업계에 대한 국가별 투자, 한국은 340조 규모 (0) | 2022.07.22 |
대학원 석사만 하고 졸업한 이유 (1) | 2022.02.19 |
young's Modulus(탄성계수) 의미 쉽게 외워보자 (7) | 2022.01.11 |
언제가 제일 힘들까?? (1) | 2021.04.11 |